<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드카 뜻 과 발동하는 이유 서킷브레이커와 차이

2020. 3. 13. 09:55꿀 정보

사이드카를 발동하는 이유와 뜻에 대해 알아보자

 

2008년 미국의 리먼사태 이후로 20년 3월 12일 현재

세계증시와 우리나라 코스피, 코스닥지수가 하방으로 경직없이

급락을 맞이하고 사이드카가 발동 되었습니다.

 

2020년 3월 12일 세계증시 상황 출처=다음

3월 12일자 우리나라기준 장마감후 제가 캡쳐한 사진입니다.

참..처절하고 안타깝습니다.

 

현재 사이드카가 이슈인데요. 이 사이드카의 뜻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뭔가 증시나 경기가 안좋아지겠구나라고는 생각하지만

정작 사이드카의 뜻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거 같아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이드카 뜻

주식선물시장 급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현물 프로그램 매매 체결을

잠시동안 중단시키는 제도이며 오토바이 보조 탑승장치에서 유래

됐습니다.

쉽게 풀어서 표현을 하자면 주식시장에는 개인만 있는것이 아니고

많은 외국인과 기관 세력들이 있는데요. 우리 개인처럼 직접 매수와

매도를 하는 외국인과 기관들도 있겠지만 보통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식 거래를 합니다. 외국인과 기관들도 우리와 같이 손절매와 익절을

하고 주가가 폭락하면 프로그램으로 자동 매도를 하게끔 되어 있는데

현재처럼 크게 주가가 하락할 경우 프로그램에 의해 투매가 나오는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이드카 제도를 만들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이드카와 유사한 제도인 서킷브레이커라는 제도도 있는데요.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발동 조건이 다릅니다.

서킷브레이커의 뜻은 다음 시간에 제가 자세히 포스팅해보는걸로

하고요. 일단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를 보여드릴게요!

사이드카에 비해 서킷브레이커가 좀더 대응강도가 강한느낌이며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되어있습니다.

사이드카는 코스피기준 5% 위아래로 변동폭인데 반면

서킷브레이커는 하방으로 8~20%까지 단계별로 대응을 합니다.

 

지금까지 사이드카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느정도 도움이 되셨는지요?ㅎㅎ

다음시간에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